어디로 가는 것인가 ...

우리는 어디서 와서 무엇을 하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가요? 앞만보고 내달리다보면 길을 잃을 때가 있습니다. 길을 찾는 당신에게 ...

정신장애 이야기 18

시계 그리기

치매를 판단하는 검사 중 하나로 '시계 그리기'가 있다. 종이와 연필, 지우개를 주고 숫자가 있는 동그란 시계에 11시 10분이 나타나게 그려달라고 한다. "시계를 그릴 것입니다.여기에 동그라미를 그리시고, 그 안에 숫자를 써넣으세요”이제는 “11시 10분이 되도록 표시해보세요”" 채점은  Freedman:  윤곽 2점, 숫자 6점, 바늘 6점, 중심 1점으로 총 15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저 점수는 0점이며, 총 15점Rouleau: 시계판의 완결성 2점, 숫자의 표기 여부 및 순서 4점, 시계바늘 표기 여부 및 배치 4점의 총 10점Todd: 모양 2점, 숫자 1-6 2점, 숫자 7-12 2 점, 짧은 바늘 2점, 긴 바늘 2점의 총 10점CERAD-CDT: 외곽선 1점, 숫자의 간격 1점, 시계바..

증상학적 진단

부인이 출장을 가서 당분간 혼자 지내게 된 A 씨는 출근할 때 걱정이 많아졌습니다. 전등불은 다 끈 것인지, 문단속은 잘 한 것인지, 가스 밸브는 차단했는지 등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을 나서면 다시 불안해집니다. 그 때문에 문을 나서기도 어렵지만, 가다가도 다시 엘리베이터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기도 합니다. 워낙 일찍 서두르는 편이라 지각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점 심해지는 것 같아 걱정입니다. ​ A 씨는 자기가 왜 이런 황당한 행동을 하는지 걱정되어 찾아보고 “강박 장애, 강박증”에 해당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A 씨는 과연 자신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유를 알게 된 것인가요? ​ 진단은 ‘왜’라는 질문에 답변해주지 않습니다. ‘왜’보다는 ‘무엇’이라는 것을, 더 정확히는 무엇이라고 부..

신경증과 정신증

정신장애의 기본 단위는 증상이다. 자주 함께 나타나는 증상을 증후군이라 하고 증후군 중에서 병리현상이 어느 정도 밝혀진 것이 장애에 해당한다. 일상에서 자주 듣는 '증후군'이라는 것은 대개 독립된 단위의 장애로 아직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정신장애는 크게 신경증(neurosis)과 정신증(psychosis)으로 구분하고 원인적인 측면에서 반응성(reactive), 기질성(organic), 내발성(endogenous)으로 구분하여 생각한다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신경증은 예전에 '노이로제'라고 부르던 것으로 대개 반응성에 해당하고 정신증은 반응성보다는 기질성이나 내발성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반응성은 그 동안은 별 문제 없이 잘 적응하면서 지내 오다가 겪게 되는 ..

치매

치매는 후천적인 인지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일상을 제대로 영위하지 못하는 증후군을 말하며 뇌 기능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질환이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원인이 매우 다양하다.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퇴행성 뇌신경질환에 해당하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노인성 치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거나 갑자기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세포가 죽으면서 발생하는 혈관성이 치매가 많다. 치매의 증상은 기억력 저하, 언어장애, 시공간 파악 능력 저하, 계산 능력의 저하, 지남력 저하, 성격변화와 감정변화 등 다양하다. 기억력 저하의 경우 최근 기억의 손상부터 시작해서 장기기억의 손상으로 이어지는데 기억의 손상이란 기억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여도 기억해낼 수 없다는 점에서 건망증과는 ..

Attention Deficit Disorder

ADHD는 부주의, 관심 부족, 시간 관리 부족, 충동 통제력 저하, 과몰입, 과잉행동, 집행기능의 부족 등을 특징으로 한다. 양상에 따라 주의력 결핍형, 과잉행동형, 혼합형으로 구분하며 주의력 결핍형인 ADD는 동기, 꾸물거림, 지속 주의력 저하의 특징 보인다. ADD 증상의 진단 ADD(Attention Deficit Disorder) 증상에는 주의력 결핍 증상이 주를 이루지만 과잉행동적인 특징도 포함된다. 아래의 증상들을 살펴보고 증상들로 인해 일상에 어려움이 있다면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15개의 증상 중 몇 개, 혹은 점수로 환산하여 몇 점 이상이면 ADD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자기 보고식 테스트는 진단 도구가 아니므로 점수나 증상의 개수보다 당사자가 일상에서 느끼는 어..

강박장애

"P양은 3개월 전부터 뾰족한 물건을 보면 자기의 눈이 찔리거나 다른 사람의 눈을 찌르는 생각이 드는데 이런 생각이 한 번 들면 머리에서 지우기 어렵다." P 양의 증상은 정도와 빈도를 살펴보아야 하겠지만, 일단 강박장애에 가장 가깝다. 강박장애는 강박행동과 강박사고로 구분하는데 강박사고는 반복적으로 떠올라 사라지지 않는 생각이나 심상(그림)을 의미한다. 가장 일반적인 강박사고는 더러움이나 감염 혹은 자신의 부주의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 자신의 자녀를 살해할지도 모른다는 폭력성 혹은 성적 (sexual) 충동과 관련된 주제들이며 그 기저에는 두려움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아 불안장애로 분류하다가 DSM-5로 개정되면서 현재는 '강박 및 관련 장애'라는 독립된 범주로 분류된다. 교통사고 혹..

신체증상 장애 (Somatic Symptom Disorder)

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하게 사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고 건강 및 질병에 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신체 건강에 관심을 갖게 되다 보니 평소에 느끼지 못했던 이상 증상들이 많이 느껴진다. 바쁘게 움직일 때는 인식하지 못하거나 무시했던 일과성 신체감각 이상, 저림, 따끔따끔함, 통증, 가슴 답답함, 허약감, 호흡곤란, 심계항진 등 신체 증상에 민감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신체증상과 관련된 장애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신체증상 장애, 질병 불안 장애, 전환장애 (기능성 신경 증상 장애), 허구성 장애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신체증상 장애는 하나 이상의 만성 신체 증상이 있으며 이런 증상으로 인하여 걱정이 지나치고 일상적인 기능에 지장을 받는 것이 특징이다. 당사자는 증상을 실제 경험하고 병에 걸..

성인 ADHD

성인 ADHD의 특징 성인 ADHD는 아동 ADHD와 나타나는 양상이 다르므로 ‘상황에 맞지 않게 과도하게 뛰어다니거나 적절치 않은 곳을 기어오른다.’ 혹은 ‘모터가 달린 것처럼 쉬지 않고 움직인다.’ 등 아동 ADHD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현실과 맞지 않는다. 따라서 성인 ADHD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두엽의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에 문제가 있는지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주의력의 경우에는 앞으로 일어날 미래의 사건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대비하여 꾸준히 준비하는 능력,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차단하는 능력, 집중력이 흐트러진 후에 다시 집중하는 능력 등이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는지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과잉행동의 측면에서는 자기..

우울장애

재미있게 하던 일들도 더는 흥이 나지 않고 재미가 있다 한들 뭐가 달라질 것인가 … … 기대하는 것도 없으니 무기력하고 주변 일에 관심도 없고 마음 붙일 곳이 없으니 공허하고 울적한 기분 상태를 우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울한 기분은 심각한 정신장애 증상에 해당할 수도 있지만,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기분이라 가볍게 여기고 주변에서도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결국 당사자는 외롭게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느끼는 무력한 상태에서 자신의 의지로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 극단적 선택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극단적 선택도 개인의 권리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극단적 선택은 돌이킬 수 없는 일이니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우울은 마음의 감기라고도 하는데 감..

양극성 장애 (조울증)

눈물을 흘리다가 이어서 바로 웃는 등 상반된 감정이 교차하거나 기분이 좋다가 가라앉으면 “조울증인가 봐”라고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조울증은 기분이 들뜬 조증 삽화와 기분이 가라앉는 우울증 삽화가 한 번 이상 번갈아 일어나는 경우를 말하는데 공식적으로는 조증 삽화의 정도에 따라 양극성 장애 I형과 II형으로 구분합니다. 여기서 삽화(episode)란 증상이 나타나는 일정 기간을 의미합니다. 양극성 관련 장애에는 가벼운 수준의 우울과 경조증 경향이 2년 동안에 1년 이상 나타나는 순환성 장애(cyclothymic disorder)도 포함됩니다. 조증 삽화에는 평소와 달리 기분이 고양되어 행복감에 도취한 모습을 보입니다. 비현실적으로 과대한 계획을 세우는 등 매우 의기양양한 모습을 보이며 충동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