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로 가는 것인가 ...

우리는 어디서 와서 무엇을 하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가요? 앞만보고 내달리다보면 길을 잃을 때가 있습니다. 길을 찾는 당신에게 ...

Mount Misery 6

마운트 미저리 (1)~(4) 핵심 정리

마운트 미저리는 소설이지만, 필자가 경험한 (국외) 정신 병동의 현장과 거의 맞아떨어진다. 환자와의 대화, 레지던트가 던지는 질문과 수퍼바이져의 답변을 통해 수련생 혹은 치료자, 상담자가 자기의 치료 혹은 상담의 철학을 정리하고 다듬어 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도 계속 등장하는 인물로 1장에 언급된 사람은 대략 5명으로 로이 배쉬, 아이크 화이트, 쉴로모 도브, 체로키 푸트남, 베리 등인데 이중 체로키 푸트남은 환자의 보호자다. 아이크 화이트에 반해서 마운트 미저리로 온 주인공 로이는 1년 차 레지던트 생활을 하고 있으며 아이크 화이트는 로이의 수퍼바이져고 아이크 화이트는 쉴로모 도브에게서 분석을 받았다. 베리는 로이의 여자친구인데 심리학자인지 의사인지 불분명하지만, 아이를 좋아하는..

Mount Misery 2021.10.15

마운트 미저리 (4)

미저리의 병동들은 떨어져 있어서 레지던트끼리 얘기를 나눌 기회가 없었다. 그래서 로이도 아이크 화이트의 집으로 가는 중에 처음으로 레게 음악을 좋아하는 헨리 솔리니와 얘기하게 되었다. 두 사람은 모두 아이크 화이트의 강연을 듣고 반해 미저리로 오기로 결심했는데 당시 로이는 '신의 집'이라는 별칭으로 유명한 곳에서 인턴을 하면서 의학에 회의를 느끼고 있었다. 의사로서의 행위에 뭔가 중요한 것이 빠져있다는 것을 느끼면서 더는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혀 있었다. 로이는 그저 인간을 이해하고 싶었고 그래서 마운트 미저리로 오게 되었는데 아이크의 도움으로 조금씩 알아가는 것 같다고 헨리에게 말한다. "우리가 여기서 하는 것이 인류에 기여하는 것이겠지?"라고 로이가 물었고 "고상하시구먼, 기..

Mount Misery 2021.10.15

마운트 미저리 (3)

큼지막한 노란색 플라스틱 물뿌리개를 들고 쉴로모는 꽃을 보살피고 있었다. 로이에게 활짝 웃을 때 이빨 빠진 것이 드러났다. 치아교정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의미한다. 쉴로모의 입술 사이에는 불 꺼진 시가가 물려 있었다. ​ "어서 오시오, Dr. 배쉬" 하면서 프로이트식 카우치 옆의 가죽의자에 로이를 앉히고 물었다. "그래서?" ​ 쉴로모의 활기 넘치는 모습을 보면 체로키 푸트남의 의심을 믿을만한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여서 아무 말도 하지 않으려고 했지만, 쉴로모가 어떤 말을 해도 다 소화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당신의 환자인 릴리 푸트남이 쉴로모 도브와 뭔가 있다고 체로키 푸트남이라는 사람이 의심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게 되었다. ​ 쉴로모는 몇 초 동안 잠깐 움직이지 않..

Mount Misery 2021.10.13

마운트 미저리 (2)

"ㄷ-들어 오세요" 아이크 화이트는 특이한 방식으로 말을 약간 더듬었다. 레지던트 수련 책임자인 아이크 화이트는 왜소한 체구의 40대로 갸름한 얼굴에 속눈썹이 길었다. 늘 밝고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축에 속했으며 말을 더듬는 것이 다소 소박한 약점에 해당하는 정도였다. 아이크 화이트는 경청할 줄 아는 사람이다. 진심으로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있어서인지 그와 얘기를 하다보면 갑자기 기운이 나는 것 같다. 전문분야는 우울증과 자살이며 환자를 진료하고 우울의 원인에 관해 연구한다. 프로이드 학파의 분석가이고 우울증 환자의 약물치료 전문가다. 레지던트 교육에 열의를 다하는 마운트 미저리의 떠오르는 별이다. Dr. 로이 배쉬는 작년에 그와 면접을 하고 서로 마음에 들었으며 아이크 화이트가수퍼비젼을 한다는 ..

Mount Misery 2021.10.12

마운트 미저리 (1)

1장 에머슨: '에머슨'은 마운트 미저리에 있는 건물로 1층은 우울장애, 2층은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가 입원해 있다. 이야기는 주인공 Dr. 배쉬가 당직하는 날 새벽 3시에 병원을 찾아온 '체로키 푸트남'이라는 남자가 자기의 부인이 Dr. 쉴로모 도브에게서 정신분석을 받고 있는데 자기부인과 쉴로모 사이에 성적인 관계를 의심하는 얘기를 꺼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부인에게는 물어보셨습니까?" "확실한 증거가 없어요. 치료에서 뭘 하냐고 물어보면, Dr. 도브가 다른 사람에게 말하면 안된다고 했다고 말해요" "그게 당신을 미치게 만드는 것이군요. 그냥 직설적으로 물어..." "제가 미쳤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요, 아닙니다. 미치지 않으셨어요." "그나마 다행이네요. 그 사람이 그녀를 범했다고 생각... 아..

Mount Misery 2021.09.28

마운트 미저리 by Samuel Shem

'Mount Misery'는 Harvard 의대 정신과 교수였던 Dr. Stephen Bergman이 Samuel Shem이라는 필명으로 저술한 소설의 제목이다. 마운트 미저리는 '마운트 미저리'라 불리는 언덕에 자리잡은 권위있는 정신병원을 지칭하며 소설은 주인공인 닥터 배쉬(Dr. Basch)가 마운트 미저리에서 겪은 1년 간의 레지던트 경험을 다루면서 정신병원의 실태를 비판하고 있다. ​의학 드라마가 승승장구하는 국내에서 Mount Misery가 번역되지 않은 것은 다소 의아하다. 정신분석이나 정신과 병동의 의사들, 그들이 추구하는 이론들, 임상심리학자들까지 다소 우스꽝스럽게 비판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겠으나 비판받아야 한다면 비판받고 개선해 나가면 될 일이다. ​Mount Misery를 번역하기보..

Mount Misery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