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로 가는 것인가 ...

우리는 어디서 와서 무엇을 하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가요? 앞만보고 내달리다보면 길을 잃을 때가 있습니다. 길을 찾는 당신에게 ...

심리 관련 이야기

일종의 '가스라이팅'

justhong 2024. 1. 22. 14:46

우리는 보통 우리에게 부여된 혹은 기대되는 역할에 맞게 행동하려는 경향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병원에 입원해서 환자복으로 갈아입는 순간 우리는 ‘진짜’ 환자가 됩니다. 사복을 입었을 때와는 달리 환자복을 입으면 자연스럽게 걷는 것도 더 기운 없어지고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할 것만 같죠. 환자복을 입는 순간 우리는 자신이 환자임을 인정한 것이고 병원의 지시를 따르겠다는 서약을 한 것이 되니까요. 

 

기대되는 역할은 직접 전달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흔히 일어납니다. 자녀가 어릴수록 부모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는데 부모가 자녀에게 전달하는 언어적 및 비언어적 메시지로부터 아이의 정체성이 형성되고, 아이는 그에 맞추어 행동하면서 자신을 확인하고 인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듣는 데서 다른 사람에게 엄마가 “우리 애는 마음이 약하고 소심해서 자신감이 부족해요”라고 말할 때 “엄마, 나 약하지 않아요.”라고 엄마의 생각을 바로잡아 줄 수 있는 아이는 그다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어쩌면 아이의 항변은 동생이나 친구를 걷어차는 비언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우리 애는 착해서 다른 사람을 잘 도와줘요.”라는 말을 들으면 아이는 “착한 사람은 다른 사람을 도와준다. 나는 착하다. 그러므로 나는 다른 사람을 도와준다.”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을 도와주게 되고 그 결과 칭찬을 듣고 더 자주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려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우리 애는 착하다.”라는 엄마의 말이 점점 더 확실한 사실이 되고 아이는 다른 사람을 도와주려고 할 것입니다. 엄마의 말이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소위 '가스라이팅'이 일어난 것이죠. 

 

성격검사라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MBTI 의 I 형이야"라고 말하면서 I 형의 특징에 맞게 행동하는 것입니다. 검사의 결과가 그렇게 만들어버린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외부에서 주입된 수많은 견해들이 나의 삶을 지배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곁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어떤 메세지를 듣고 있는지 또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